우분투 설치 후 터미널 사용 시 특별한 설정이 없다면 폰트 때문에 너무 불편하다.
고정폭 폰트가 아니라서 문자가 서로 겹쳐서 나오는 경우가 많다.
그래서 고정폭 폰트도 몇가지 추천하면서 어떻게 설정하는지 정리해 본다.
1. inconsolata (ttf-inconsolata 패키지 설치)
2. 네이버 나눔고딕 코딩글꼴 (deb 패키지 다운로드 가능)
고정폭 폰트를 설치 후 터미널을 열고 [편집(E)] - [프로파일 기본 설정(O)] 메뉴를 선택한다.
시스템 고정폭 글꼴 사용을 해제(①)하고 글꼴 콤보박스를 선택(②)한다. (예> Inconsolata 폰트를 선택한 경우)
고정폭 폰트를 선택 후 확인을 누르고 설정 창을 닫으면 바로 적용된다.
여기 설정했다면 고정폭 폰트가 나오지만 폰트이 너무 지저분하게 나온다.
이것은 기본 폰트를 제외한 추가 폰트에 대한 Anti-aliasing 이 적용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.
그래서 아래의 링크와 같이 추가 설정이 필요하다.
한글에 Anti-aliasing 적용하기
Anti-aliasing 설정까지 끝마쳤다면 완벽한(?) 터미널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.
끝으로 프로그래밍 폰트 TOP 10 을 소개한다. 아마도 고정폭 폰트를 선택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.
'컴퓨터 > 우분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etstat 사용법 비교 (0) | 2011.02.01 |
---|---|
우분투에서 Firefox, Chrome 64bit 사용 시 Flash Plugin 설치하기 (0) | 2011.01.22 |
[팁] 우분투에서 네트워크 서비스 탐색 비활성화 메시지 제거 (0) | 2011.01.04 |
[팁] 우분투에서 시스템 메뉴 아이콘 보이기 (0) | 2011.01.03 |
우분투 10.10 에서 RaLink RT3090 무선랜카드 인식시키는 방법 (1) | 2010.12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