네트워크 연결(IP, Port) 정보를 얻는 방법으로 보통은 netstat 를 많이 사용한다.
하지만 Linux 와 Windows 에서는 옵션이 달라서 많이 헷갈린다. 그래서 정리해본다.
1. Linux 에서 사용법
1) 옵션
- -n : 네트워크 정보(IP, Port) 정보를 숫자로 표시
- -a : 모든 소켓 정보를 표시
- -t, -u : 프로토콜 선택(-t: TCP, -u: UDP)
- -l : 수신 대기(Listening) 소켓만 표시
- -p : 소켓과 연결된 프로그램 정보 표시(PID, 프로그램 이름)
- -c : 1초마다 정보를 계속 표시
2) 사용예
$ netstat -n -a -t
2. Windows 에서 사용법
1) 옵션
- -n : 네트워크 정보(IP, Port) 정보를 숫자로 표시
- -a : 모든 소켓 정보를 표시
- -p {tcp|udp} : 프로토콜 선택
- -b : 소켓과 연결된 프로그램 이름 표시
- -o : 소켓과 연결된 프로세스 ID(PID) 표시
- {숫자} : 지정 초간격으로 계속 표시
> netstat -n -a -p tcp
'컴퓨터 > 우분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우분투에서 즐기는 맥라이프, Macbuntu (0) | 2011.04.14 |
---|---|
우분투에서 Firefox 4 설치하기 (0) | 2011.04.09 |
우분투에서 Firefox, Chrome 64bit 사용 시 Flash Plugin 설치하기 (0) | 2011.01.22 |
[팁] 우분투에서 네트워크 서비스 탐색 비활성화 메시지 제거 (0) | 2011.01.04 |
[팁] 우분투에서 시스템 메뉴 아이콘 보이기 (0) | 2011.01.03 |